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서평) 현대의 과학철학, hat is this thing called science? (1)
    bookstory 2023. 9. 24. 17:11
    728x90

    공학, 과학 및 관련 엔지니어링 업무를 하는 사람들에게 추천해주고 싶은 책이다.

     

    총 14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창시절 배운 연역, 귀납법에 대한 내용과 이에 대한 비판적 사고 등에 대한 내용을 주로 다룬다. 

     

    아래에 1~3장 까지의  주요 내용들을 정리하였다. 

     

    귀납주의 :

    경험적 사실로부터 도출된 지식으로서의 과학

     

     

    17세기부터 실험과학의 극적인 성취를 계기로 경험을 지식의 근원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데이비스 과학적 방법에 대하여에서는 과학은 사실 위에 세워진 구조물이다. 라는 말을 하고 있다.

     

    특히, 갈릴레오의 업적인 관찰과 실험을 도입함으로써 전통적인 태도와의 결별을 고하게 되었다.

     

    소박한 귀납주의에 대해서도 다룬다. 이 의미는 관찰자가 감각을 사용하여 얻어낸 것이 관찰 언명으로 명시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귀납주의자들은 일반화가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아래의 조건들을 지적하고 있다.

    1) 일반화의 기초가 되는 관찰 언명은 수적으로 많아야 한다.

    2) 관찰은 다양한 조건 아래서도 반복될 수 있어야 한다.

    3) 받아들여진 어떠한 관찰도 도출된 보편 법칙과 모순되어서는 안된다.

     

    관찰을 통해 얻어진 사실 -> [귀납] -> 법칙과 이론 -> 연역 -> 예측과 설명

     

     

    2. 귀납의 문제점

    관찰을 통하여 하나의 추리 전제를 가정했을 때 새로운 관찰 결과가 나타나게 된다면 그것은 모순이 된다.

    귀납법을 정당화하기 위해 귀납법을 사용할 수 없다.

    확률론으로의 후퇴 / 개별적인 예측에 확률을 주려는 시도는 옳을 수 있다.

     

     

    3. 관찰의 이론 의존성

    이 장에서는 관찰자의 개인 주관이 반영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관찰자의 경험, 지식, 기대, 그리고 일반적으로 내적인 상태에 의해 결정된다.

     

    5. 세련된 반증주의, 새로운 예측과 과학의 성장

     

    절대적이라기보다 상대적인 반증가능성의 정도

    과학이 진보됨에 따라 반증 가능성이 점점 더 높아져 많은 내용과 정보를 가져야 한다.

    임시방편적인 가정을 덧붙이거나 기존의 이론을 바꾸는 것과 같은 이론의 수정을 애드 혹크 이론 수정이라 부른다.(: 질병이 발생한 빵을 생산된 마을에서 만드는 빵을 제외한 모든 빵은 영양분이 있다. / from 모든 빵은 영양분이 있다 to 특별한 종류의 군류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밀로 만든 모든 빵에는 영양분이 있다. 로 애드혹크 수정이 아닌 이론을 변경할 수 있다.)

     

     

    6. 반증주의의 한계

    그 역은 어렵지만 참된 관찰 언명이 주어지면 논리적으로 보편 언명이 거짓임을 유도해내는 것은 가능하다.

    이 책에서는 갈릴레오의 이론들을 예시로 많이 들고 있다. 가령, 천문학에 대한 가설을 제시할 때 사용한 광학 망원경 사용에 대한 타당성, 육안보다 망원경의 공신력에 대한 의구심을 해결하는 것에 대해서도 다룬다. (망원경을 통한 관찰의 정당화)

     

     

     

    7. 구조로서의 이론

    과학사의 연구는 이론을 구조로 파악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강조하게 된 계기가 되었으며 역사적 연구를 통해 귀납주의자나 반증주의자의 설명으로는 파악될 수 없는 그러한 사실을 알게 되었는데 이는 곧, 중요한 과학상의 진화나 진보는 어ᄄᅠᆫ 구조를 띠고 있는 것이다.

    개념은 이미 그것의 의미가 주어진 다른 개념에 의해서만 정의될 수 있다.

     

    7-2. 라카토스의 연구 프로그램

    이론을 조직화된 구조로 분석하려는 시도

    한 연구 프로그램의 부정적 발견법은 그 프로그램의 기초구실을 하는 기본 전제, 달리말하면 프로그램의 견고한 핵은 거부되거나 수정될 수 없다는 규정을 포함하고 있다.

     

     

     

     

     

    참고 : 

    아래의 참고문헌은 번역 전 원서입니다.

    CHALMERS, Alan F. What is this thing called science?. Hackett Publishing, 2013.

     

    현대의 과학철학

    • 저자
      앨런 차머스
    • 번역
      신일철
    • 출판
      서광사
    • 발행
      1985.03.01.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