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UPS(무정전전원장치)의 점검
    Engineering 2024. 6. 2. 16:42
    728x90

     

     

     

    전기안전관리법 시행규칙은 최근의 개정을 통해 전기저장장치에 UPS를 포함하였으며 전기설비 검사 및 점검의 방법, 절차 등에 관한 고시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23-081)에서는 UPS의 정의를 KS C IEC 62040-1:2017 및 한국전기설비규정(KEC)에 따라 상용전원의 정전시 부하 전력의 연속성 유지를 위해 전력변환장치 및 스위치, 이차전지 등을 조합하여 구성한 전원장치(3조 제30)라고 신설

     

    전기안전관리자에 의한 일상점검을 의무화하기 위해 점검주기 및 표준점검서식(별지 제16호 서식)전기안전관리자의 직무에 관한 고시에 추가하여 ’24.7.1.부터 시행 개정.

     

    UPS의 열화요인 :경년열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구성품 하나의 이상이 전체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점검포인트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s, 평균 고장 간격)는 열화 및 마모된 부품을 조기 검출하여 교체하는 것만으로 연장할 수 있지만 UPS 각 구성품의 전기적 기계적 경년열화 진행속도가 느려 조기 검출이 용이하지만은 않다.

     

    일상점검: 육안으로 점검, 오감이나 간단한 장비들을 활용하여 계기로부터 얻은 운전상태 측정값(측정 전압, 전류, 주파수, 교류 입력전압, 직류 전압, 전류 등) 이상발열, 표시등, 소음, 진동, 냄새, 환경 등을 점검

     

    정기점검 : 정기점검에는 육안점검과 전기적 시험이 있다. 육안점검은 내부 온습도, 각종 부식성 가스, 먼지, 기름때 염분 등의 환경 영향여부와 일상점검 항목을 포함 / 청소와 내부 육안점검 후,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전기적 열화 여부 진단

     

     

     

     

     

    참고 : 전기안전관리 담당자의 기본지식, electric engineers magazine, 2024.vol.482.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